[보도자료] 대지급금 지급후 변제금 상환하지 않는 사업주에게 불이익
첨부파일(1)
고용노동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4. 7. 30.(화) 10:00 (2024. 7. 30.(화) 석간)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일부개정령안 국무회의 심의‧의결
8.7.부터 1년 이상 고액 대지급금 미변제 사업주에 대한 신용제재와 장기미회수채권의 회수를 한국자산관리공사 위탁을 시행하기 위해 「임금채권보장법 시행령」 개정안을 7.30. 국무회의에서 심의‧의결했다.
임금체불이 발생한 사업주를 대신해 국가가 일정 범위의 체불임금 등을 대신 지급하여 체불근로자의 생활을 두텁게 보호하고 추후 사업주는 대지급금을 변제해야 하나,
변제금을 상환하지 않아도 별다른 제재가 없어 누적 회수율은 30%에 수준에 머물고 있어, 2가지 사항을 추진하게 되었다.
사업주의 사망, 파산선고, 회생결정 등의 사유를 제외하고 대지급금 지급 후 1년 이상 경과하고 지급액이 2,000만 원 이상인 경우 미회수금과 해당 사업주의 인적 사항 등을 종합신용정보집중기관에 제공하게 되며, 금융기관의 대출 및 신용카드 발급 제한, 이율 차등 등 불이익한 처분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효율적인 채권 관리를 위해 매년 누적되고 있는 5년 이상 경과 1억원 미만의 장기미회수채권* 회수를 채권추심 전문기관인 한국자산관리공사에 위탁할 수 있도록 했다.
* ▴33천여개소 전체 채권관리사업장의 34%, ▴5,936억원으로 미회수액의 17%
한편 최근 임금체불이 급증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여 정부는 고의‧상습체불 특별감독, 재직자 체불 등 사업장 감독 강화, 시정지시‧사법처리 중심의 신고사건 처리, 객관적 임금 자료에 기반한 대지급금 지급 등 체불임금에 대해 사업주 책임성을 강화하는 조치를 시행하는 등 적극 대응해오고 있다.
* ① 제2차 재직자 익명제보센터 운영(4.15.~5.5.) 및 기획감독 착수(~진행 중)② 지급 능력이 있음에도 고의․상습적으로 체불하는 7개 기업을 발굴하여 전국 6개청 동시 특별감독 착수(5.8.~)
따라서 이번 시행령 개정은 이 같은 대응과 더불어 체불의 최종 책임자인 사업주의 임금체불 예방과 변제금 회수율 제고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새로운 법령 제개정사항, 정부정책(보도자료), 판례와 행정해석 등을 업데이트합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매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리는 ‘뉴스레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199 |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4-28 |
198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4-14 |
197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31 |
196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10 |
195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10 |
194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10 |
193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24 |
192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24 |
191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17 |
190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