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공지사항

<대법원> 취업규칙 변경시 반드시 근로자 집단적 동의 필요

작성자 : 노무법인 화평
작성일 : 2023-05-15 08:56:15
조회수 : 736

대법원 2017다35588, 35595(병합) 부당이득금반환 보도자료

 

 

대법원(재판장 대법원장 김명수, 주심 대법관 오경미)은 2023. 5. 11. 아래와 같은 전원합의체 판결을 선고하여 원심판결 중 피고 패소부분을 파기·환송하였음[대법원 2023. 5. 11. 선고 2017다35588,35595(병합)

 

전원합의체 판결]1)

 

- 사용자가 취업규칙을 근로자에게 불리하게 변경하면서 근로자의 집단 적 의사결정방법에 따른 동의를 받지 못한 경우, 이는 근로기준법 제 94조 제1항 단서를 위반하여 근로자의 집단적 동의권을 침해한 것으 로 원칙적으로 무효이고, 노동조합이나 근로자들이 동의권을 남용하였다고 볼 만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해당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있다는 이유만으로 그 유효성을 인정할 수는 없음

 

- 이와 달리 사용자가 근로자의 집단적 동의 없이 취업규칙을 작성·변경하여 근로자에게 기존보다 불리하게 근로조건을 변경하였더라도 해 당 취업규칙의 작성 또는 변경에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있다고 인정되 는 경우 그 적용을 인정한 종래의 대법원 판례를 모두 변경함 

 

- 종전 판례의 태도에 따라 간부사원 취업규칙 중 연월차휴가 부분이 사회통념상 합리성이 있는지를 기준으로 취업규칙 변경의 효력을 판단하였을 뿐, 노동조합의 부동의가 동의권 남용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관하여 판단하지 않은 원심판결에는 법리오해 및 심리미진의 잘못이 있으므로 이를 (일부) 파기·환송함

 

 

 

 

 

 

 





· 새로운 법령 제개정사항, 정부정책(보도자료), 판례와 행정해석 등을 업데이트합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매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리는 ‘뉴스레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66 [ 행정해석 ] 일용직 근로자에 대한 연차유급휴가 등은 어떻게 되는지 노무법인 화평 2024-08-05
165 [ 판례 ] 직상 수급인이 근로자로부터 임금 수령권한을 위임받은 하수급인에게 임금 상당액을 지급한 경우 구 근로기준법 제44조의2 위반에 해당 노무법인 화평 2024-08-05
164 [보도자료] 대지급금 지급후 변제금 상환하지 않는 사업주에게 불이익 노무법인 화평 2024-08-05
163 [행정해석] 기간제 및 정년 퇴직자의 마지막 1년 근무에 대한 연차유급휴가 및 미사용 수당 발생 여부 노무법인 화평 2024-07-29
162 [판례] 대법원 2020도16541 근로기준법상 근로조건명시의무 조항은 기간제에도 적용된다 노무법인 화평 2024-07-29
161 [행정해석] 임금근로시간과-44 (2022.01.06.) 파트타임 근면자가 토요일 근무시 연장근로가산수당 지급여부_불필요 노무법인 화평 2024-07-22
160 [고시] 2025년 적용 최저임금안 고시 노무법인 화평 2024-07-22
159 [대법원] 2023다217312 임금등 강사에게 주휴수당 지급해야 노무법인 화평 2024-07-15
158 [행정해석] 미리 보상휴가를 부여한 후 초과근무에 대한 가산수당을 지급할 수 있는지 노무법인 화평 2024-07-15
157 [행정해석] 임금근로시간과-247 (2022.01.27.) 5인 이상과 미만이 반복된 사업장에서 연차휴가 산정방법 노무법인 화평 2024-07-08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