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컨텐츠 바로가기

공지사항

[행정해석] 평일 근로+토요일 근로를 약정한 사업장에서 휴업을 실시하는 경우 토요일에 휴업수당이 발생여부

작성자 : 노무법인 화평
작성일 : 2024-05-20 09:45:22
조회수 : 686
  • 【질 의】
  • ❏ 평일 근로 외에 토요일 근로를 약정한 사업장에서 휴업을 실시하는 경우 토요일에 휴업수당이 발생하는지
  • 【회 시】
  • ❏ 「근로기준법」 제46조에 따라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그 근로자에게 평균임금의 70%를 지급하여야 하고, 이때, ‘귀책사유’란 「민법」상의 귀책사유인 고의·과실 이외에도 사용자의 세력범위 안에서 발생한 경영장애까지 해당되는 것으로 넓게 보고 있음.
  • ❏ 귀 질의만으로 구체적인 사실관계를 확인할 수 없어 명확한 답변은 드리기 어려우나, 소정근로시간의 변경 없이 연장근로시간을 줄이는 경우 휴업으로 볼 수 없으므로(「휴업수당제도 해석 기준」, 2009.2.13.), 휴업수당은 근로자의 근로제공의사가 있음에도 사용자의 귀책사유로 소정근로시간에 휴업하는 경우에 그 지급의무가 발생한다고 봄이 타당할 것으로 사료됨.
  • -한편, 「근로기준법」 제2조제1항제8호에 따르면 소정근로시간이란 제50조, 제69조 본문 또는 「산업안전보건법」 제139조제1항에 따른 근로시간의 범위에서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에 정한 근로시간을 말함.
  • ❏ 따라서, 「근로기준법」 제50조의 법정근로시간 한도 내에서 정한 소정근로시간에 대해 휴업하는 경우에 휴업수당의 지급의무가 발생할 것이므로, 귀 질의상의 A사업장과 같이 평일 9시간 및 토요일 8시간을 근무하기로 약정한 경우 소정근로시간 40시간을 초과한 연장근로시간 및 토요일 근무에 대하여는 휴업수당 지급의무가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 또한, B사업장과 같이 월요일부터 토요일까지 1일 7시간 근무하는 경우 법정 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를 제공(토요일 2시간)한 경우 연장근로에 해당하므로, 해당 연장근로시간에 대해서는 휴업수당이 발생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됨.
  • [근로기준정책과-1319 (2022.04.20.)]




· 새로운 법령 제개정사항, 정부정책(보도자료), 판례와 행정해석 등을 업데이트합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매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리는 ‘뉴스레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185 [2024년 개정 육아지원3법] 연차휴가일수 산정 노무법인 화평 2025-01-17
184 대법원 2023도5476 (2024. 12. 12.) 연차휴가 산정에서 근로기간의 기산점 및 상시 근로자수의 산정기간 판단기준 노무법인 화평 2025-01-07
183 2025년 적용 최저임금 안내문 및 전단지 노무법인 화평 2025-01-07
182 [판례]대법원2023다302838 지급조건이 부가된 정기상여금 통상임금 판례 노무법인 화평 2024-12-30
181 [판례} 대법원 2021다220062 판결 등_당직근무가 통상근로에 해당하는지 노무법인 화평 2024-12-02
180 [행정해석] 연차휴가 집단적 대체시 근로자 집단별로 다른 일자 적용 가능 노무법인 화평 2024-09-03
179 [행정해석] 노사협의회 근로자위원에게 탄력근로시간제 서면합의 권한 부여 가능 노무법인 화평 2024-09-03
178 [판례] 부산고법 2023나56333 포괄임금약정_근로시간 산정이 어려운 경우에만 인정 노무법인 화평 2024-09-03
177 [행정해석] 일일단위 일용계약이 반복갱신되는 경우 주휴수당 지급이 타당 노무법인 화평 2024-08-26
176 [행정해석] 휴무일이 어느요일인지에 따라 공휴일 적용이 달라지는 문제 노무법인 화평 2024-08-26
1 2 3 4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