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법원 2021다219529 판결 직장내성희롱 행위에서 사용자 손해배상 책임
첨부파일(1)
대법원_2021다219529 직장내괴롭힘 사용자책임.pdf (0.12MB)
대 법 원
제 3 부 판 결
사 건 2021다219529 손해배상(기)
원고, 피상고인 원고 1 외 1인 소송대리인 법무법인 신효 담당변호사 김상윤 외 1인
피고, 상고인 도영운수 주식회사 외 1인 소송대리인 변호사 이재양
원 심 판 결 인천지방법원 2021. 2. 10. 선고 2019나51126 판결 판 결 선 고 2021. 9. 16.
<중략>
(6) 소외 1, 소외 2는 2017. 12. 21. 인천지방법원 2017고정2327호 사건에서 위 (2)항 기재 행위에 관해서 명예훼손죄(허위사실 적시)로 각각 벌금 200만 원과 벌금 300만 원을 선고받았고, 위 판결은 그 무렵 확정되었다.
라. 이러한 사실을 위에서 본 법리에 비추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된다. 소외 1 등의 발언은 ‘성적인 사실 관계를 묻거나 성적인 정보를 의도적으로 퍼뜨리는 행위’로서 남녀고용평등법 시행규칙 제2조 [별표 1]에서 말하는 성적인 언동에 해당하고, 원고 1과 같은 처지에 있는 일반적․평균적인 사람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느끼게 하기에 충분하다. 소외 1 등의 발언은 피고 회사의 근로자 사이에서 동료 근로자인 원고 1을 대상으로 한 성적인 내용의 정보를 의도적으로 유포하거나 성적인 사실 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원고 1에게 성적 굴욕감이나 혐오감을 불러일으킴과 동시에 적대적이고 위협적인 근로환경을 조성하는 행위로서 업무관련성도 인정된다.
소외 1 등의 발언은 대부분 원고 1 앞에서 직접 행해진 것이 아니라 근로자 사이에 원고 1을 대상으로 한 성적인 내용의 정보를 유포하는 간접적인 형태로 이루어졌지만, 위와 같이 유포된 성적인 정보의 구 체적 내용, 유포 대상과 범위, 그 효과 등에 비추어 업무관련성을 인정할 수 있으므로, 남녀고용평등법 제12조에서 금지되는 직장 내 성희롱에 해당한다. 나아가 소외 1 등의 발언은 직장 내 성희롱으로 인정되는 행위로서 사용자의 사업과 시간적․장소적으로 근접하고 업무와 관련하여 이루어진 불법행위이고, 남녀고용평등법 에 따라 피고 회사에 이러한 가해행위(직장 내 성희롱)가 발생할 위험을 방지할 책임이 있다는 사정을 아울러 고려하면, 소외 1 등의 발언으로 원고 1이 입은 손해는 소외 1 등이 피고 회사의 사무집행에 관하여 원고 1에게 가한 손해에 해당한다. 같은 취지에서 원심이 피고 회사가 원고 1에 대하여 직장 내 성희롱에 해당하는 소 외 1 등의 발언으로 인한 사용자책임을 부담한다고 본 것은 정당하다. 원심판결에 직 장 내 성희롱과 사용자책임에 관한 법리를 오해한 잘못이 없다.
· 새로운 법령 제개정사항, 정부정책(보도자료), 판례와 행정해석 등을 업데이트합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매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리는 ‘뉴스레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87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1-08 |
86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1-08 |
85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1-08 |
84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27 |
83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27 |
82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18 |
81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18 |
80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18 |
79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12 |
78 |
![]() ![]() |
노무법인 화평 | 2021-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