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근로자 고용 사업장에서 고용제한 조치 안내
내국인 근로자를 권고사직 등 고용조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사업장이라면 한번더 주의가 필요합니다.
외국인근로자고용법 및 시행령에 따르면,
"법 제8조에 따라 고용허가서를 발급받은 날 또는 법 제12조에 따라 외국인근로자의 근로가 시작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내국인근로자를 고용조정으로 이직시킨" 경우 외국인근로자 고용을 3년 이내 범위에서 제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외국인근로자 고용후 6개월간은 내국인근로자 고용조정에 유의하여야 합니다.
<외국인근로자고용법>
제20조(외국인근로자 고용의 제한) ① 직업안정기관의 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용자에 대하여 그 사실이 발생한 날부터 3년간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을 제한할 수 있다. <개정 2014. 1. 28., 2022. 6. 10.>
1. 제8조제4항에 따른 고용허가 또는 제12조제3항에 따른 특례고용가능확인을 받지 아니하고 외국인근로자를 고용한 자
2. 제19조제1항에 따라 외국인근로자의 고용허가나 특례고용가능확인이 취소된 자
3. 이 법 또는 「출입국관리법」을 위반하여 처벌을 받은 자
3의2. 외국인근로자의 사망으로 「산업안전보건법」 제167조제1항에 따른 처벌을 받은 자
4. 그 밖에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자
② 고용노동부장관은 제1항에 따라 외국인근로자의 고용을 제한하는 경우에는 그 사용자에게 고용노동부령으로 정하는 바에 따라 알려야 한다. <개정 2010. 6. 4.>
[전문개정 2009. 10. 9.]
<시행령>
제25조(외국인근로자 고용의 제한) 법 제20조제1항제4호에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사유에 해당하는 자”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자를 말한다. <개정 2022. 8. 2.>
1. 법 제8조에 따라 고용허가서를 발급받은 날 또는 법 제12조에 따라 외국인근로자의 근로가 시작된 날부터 6개월 이내에 내국인근로자를 고용조정으로 이직시킨 자
2. 외국인근로자로 하여금 근로계약에 명시된 사업 또는 사업장 외에서 근로를 제공하게 한 자
3. 법 제9조제1항에 따른 근로계약이 체결된 이후부터 법 제11조에 따른 외국인 취업교육을 마칠 때까지의 기간 동안 경기의 변동, 산업구조의 변화 등에 따른 사업 규모의 축소, 사업의 폐업 또는 전환, 감염병 확산으로 인한 항공기 운항 중단 등과 같은 불가피한 사유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근로계약을 해지한 자
[전문개정 2010. 4. 7.]
· 새로운 법령 제개정사항, 정부정책(보도자료), 판례와 행정해석 등을 업데이트합니다.
· 보다 자세한 사항은 매주 이메일로 발송해 드리는 ‘뉴스레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
199 |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4-28 |
198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4-14 |
197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31 |
196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10 |
195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10 |
194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3-10 |
193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24 |
192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24 |
191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17 |
190 |
![]() |
노무법인 화평 | 2025-02-17 |